실시간 뉴스



AWS "향후 5년간 국내 AI·머신러닝 기술역량 필수"


아태지역 6개 국가 조사결과…클라우드 컴퓨팅 역량도 중요

[아이뉴스24 최은정 기자] 향후 5년간 국내 근로자들은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관련 기술역량을 높이는 데에 집중해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윤정원 AWS 코리아 공공부문 대표는 23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아마존웹서비스(AWS) 간담회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디지털 잠재력 보고: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 수요와 정책 접근법' 주제 연구조사를 공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국내 참여자 500여명을 포함해 아태지역 6개 국가의 디지털 근로자 총 3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가 담겼다.

윤정원 AWS 코리아 공공부문 대표(상단 왼쪽 세번째)의 모습. [사진=캡처]

윤정원 대표는 "AI와 머신러닝은 기업들의 수요가 가장 높은 디지털 기술 중 대다수 기술에 걸쳐 있다"며 "이에 국내 근로자들이 향후 5년 간 개발해야 할 가장 중요한 기술역량으로 꼽힌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AI와 머신러닝 기술은 대규모 데이터 분석뿐 아니라 웹·소프트웨어·게임 개발,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 쓰일 수 있다. 또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 시에도 관련 역량은 필수다.

윤 대표는 이 중에서도 특히 클라우드 아키텍처 부문에 주목했다. 이번 AWS 조사결과에서도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 부문은 아태지역에서 기업들의 수요가 가장 높은 5대 기술 중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국내의 경우 해당 부문은 SW 개발자, 엔지니어 등과 같은 기술 전문가들이 2025년까지 필요하다고 꼽는 세가지 기술 중 하나이기도 하다.

윤 대표는 "클라우드 역량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앱을 사용하고, 이를 전문 직무에 활용하는 것 등을 포괄한다"며 "클라우드 전환이 가속화되는 시점에서 클라우드 설계 구체화 등 역량은 더욱 중요해진다"고 했다.

아울러 한국은 2025년까지 1천560만 명의 디지털 근로자가 추가로 필요할 것이라는 전망도 이날 발표됐다.

다만, 앞으로 5년간 노동인구에 포함될 현재 학생 비중은 15% 수준이다. 현 디지털 근로자, 비디지털 근로자를 포함한 이들 학생들이 디지털 기술 역랑을 갖추는 것이 시급한 이유다.

윤 대표는 "디지털 기술을 갖춘 인력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은정 기자 ejc@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AWS "향후 5년간 국내 AI·머신러닝 기술역량 필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권성동 의원실로 집결하는 국민의힘 의원들
권성동 의원실로 집결하는 국민의힘 의원들
'건진법사-통일교 의혹' 관련 입장 밝히는 권성동
'건진법사-통일교 의혹' 관련 입장 밝히는 권성동
압수수색 관련 입장 밝히는 권성동 의원
압수수색 관련 입장 밝히는 권성동 의원
모두발언 하는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자 '관심 집중'
모두발언 하는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자 '관심 집중'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 시작 40분만에 파행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 시작 40분만에 파행
질의에 답변하는 윤호중 행안부 장관 후보자
질의에 답변하는 윤호중 행안부 장관 후보자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 청문회, 항의하는 김미애 의원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 청문회, 항의하는 김미애 의원
선서하는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선서하는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모두발언하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모두발언하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